경제/경제 및 금융 용어24 미국 연방준비제도 금리 인하의 영향과 역사에 대한 이해 금리인하란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낮추는 것을 의미하는 통화정책 수단입니다. 기준금리는 한국은행과 금융회사 간 거래의 기준이 되는 금리로,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연 8회 결정됩니다. 금리인하는 경제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낮아진 금리로 대출을 받아 생산 활동을 확대하고 더 큰 산업을 일으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반면 금리 인하로 인해 돈의 가치가 낮아져 외국인 투자자금이 빠져나갈 수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7 일물 RP 매각 시 고정입찰금리, 매입 시 최저입찰금리를 기준금리로 사용하며, 과거에는 24시간 콜금리를 사용했으나 2008년부터 중국을 따라 7 일물 RP를 기준금리로 채택했습니다. 금리인하의 영향1. 인플레이션· 저렴한 신용대출로 상품 구매 증가 시 인플레이션 상승 가능.. 경제/경제 및 금융 용어 2024. 9. 1. 주식 투자의 성공을 위한 심리적 습관 변화 주식 투자의 성공을 위한 심리적 습관 변화 주식 투자는 그 자체로 복잡하고 도전적인 활동입니다. 그러나 우리의 습관과 감정, 심리가 투자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성공의 핵심은 나쁜 습관을 버리고 성공적인 습관을 채택하는 것입니다. 버려야 할 습관들 1. 충동적 거래 첫 번째로, 우리는 충동적인 투자를 피해야 합니다. 이것은 우리의 도파민 수치가 급증했을 때 흔히 발생합니다. 이런 상태에서는 빠른 수익을 위해 위험한 투자에 관여하게 됩니다. 2. 감정적 투자 두 번째로, 감정적인 투자를 피해야 합니다. 주식 시장에서는 이해 부족과 감정적인 의사 결정으로 인해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감정을 조절하고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불안, 공포, 욕망 등의 감정이 의사 결정 과정을 방해하.. 경제/경제 및 금융 용어 2024. 2. 12. 금융 EDI의 의미 금융 EDI의 의미 금융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는 컴퓨터가 서로 연결되어 상품과 서비스를 교환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입니다. 다양한 문서가 표준화된 형식으로 서비스 거래 정보를 교환하고 상업 거래를 처리함으로써 생성되며, 컴퓨터 중복 입력 등 거래 정보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증가시키는데 개발된 시스템입니다. 표준화된 형식의 정보이기 때문에 수신 기업이나 조직은 새로운 입력이 필요하지 않으며 전송된 대로 업무에 활용할 수 있어서 기록 오류가 없습니다. 또한 비즈니스 처리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고 인력 및 재고를 줄이며 고객 서비스 개선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금융 EDI는 목적에 따라 전자 문서 표준, 메시지 표준, 통신 표준으로 나뉩니다. 반면에 은행은 이러한 상업 거래 .. 경제/경제 및 금융 용어 2023. 8. 22. 금본위제의 의미 금본위제의 의미 금본위제는 각 국가의 통화 가치를 순수한 금의 특정 무게로 설정하고, 금화를 자유롭게 주조하고 수입하며 수출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또한 금화를 지폐나 예금 통화와 교환할 수 있게 합니다. 금본위제 하에서 각 국가의 통화는 금의 무게를 기반으로 가치를 산정합니다. 통화 간의 환율은 금을 통해 고정되므로 금본위제는 전형적인 고정환율 시스템입니다. 1800년대 영국에서 금본위제가 도입되면서 독일, 네덜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 프랑스, 일본 등 주요 국가들이 금본위제를 채택했습니다. 금본위제는 각 국가의 통화 균형을 금을 통한 결제로 자동 조절함으로써 국제 금융과 세계 경제의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주요 국가들의 과도한 전쟁 지출로 인한 인플레이션과 정치.. 경제/경제 및 금융 용어 2023. 8. 22. 금리 스왑(Interest Rate Swap) 금리 스왑(Interest Rate Swap) 금리(이자율) 스왑은 이자율 변동 리스크를 헤지 하고 차입 비용을 줄이기 위해 디자인된 거래입니다. 이를 위해 변동 이자율 (91일 CD 이율)과 고정 이자율 (IRS 이율)을 교환하는 거래를 의미합니다. 고정 이자율 대신 변동 이자율을 지불하는 거래는 금리스왑 pay거래로 불리며, 그 반대로 고정 이자율을 수취하는 거래는 금리스왑 receive거래로 불립니다. 금리 스왑은 자산과 고정 이자율 부채의 기간 불일치로 인해 발생하는 이자율 변동 리스크를 헤지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만약 고정 이자율 자산이 고정 이자율 부채보다 크다면, 금리 스왑 거래를 통해 고정 이자율 부채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때, 채권의 판매와 동일한 효과를 이자율 스왑 거래를.. 경제/경제 및 금융 용어 2023. 7. 29. 글로벌 금융 안전망(GFSN, Global Financial Safety Net) 이란? 글로벌 금융 안전망(GFSN, Global Financial Safety Net) 이란? 금융위기 등으로 인하여 외화유동성이 부족해지는 경우에 대비하기 위해 각국에서는 글로벌금융안전망이라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이는 개별 국가의 금융안전망, 지역차원의 금융안전망, 글로벌차원의 금융안전망으로 구성된다. 개별국가 차원의 금융안전망 개별국가 차원의 금융안전망은 각국 정부가 자국의 금융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구축한 제도적 장치들을 말한다. 외환보유액, 통화스왑, 자본제한 등 다양한 수단이 포함된다. 외환보유액은 각국 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외화자산을 말한다. 외환보유액은 자국 통화가치의 안정을 유지하고, 금융위기 발생 시 외화유동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통적으로 각국 정부는 금융위기에 대.. 경제/경제 및 금융 용어 2023. 7. 9. 근원인플레이션율_물가상승의 흐름을 파악하는 지표 근원인플레이션율_물가상승의 흐름을 파악하는 지표 근원인플레이션율의 개념 근원인플레이션율(core inflation rate)은 물가변동을 초래하는 여러 요인들 가운데 일시적인 공급충격의 영향을 제외한 기조적인 물가상승률을 말합니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농산물 가격, 국제원자재가격 등의 변동 부분을 제거하여 계산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근원인플레이션율은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에서 이러한 변동 부분을 제거하여 계산합니다. 근원인플레이션율의 장단점 근원인플레이션율은 물가에 미치는 단기적 충격이나 불규칙 요인이 제외되어 기조적인 물가상승의 흐름을 포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 국민이 실제로 느끼는 체감물가와 괴리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면 근원인.. 경제/경제 및 금융 용어 2023. 6. 24. 그램-리치-블라일리법 그램-리치-블라일리법 그램-리치-블라일리법 1999년 미국 의회가 제정한 그램-리치-블라일리법은 금융서비스현대화법으로, 1933년 글라스-스티걸법의 핵심 조항을 폐지하여 상업은행과 투자은행 간 격차를 줄이고 금융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법입니다. 글래스-스티걸법은 대공황 이후 금융 위기를 방지하기 위해 제정된 법으로,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의 업무를 분리하여 상업은행이 투자은행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램-리치-블라일리법은 이 법의 핵심 조항을 폐지하여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의 업무를 통합했습니다. 그램-리치-블라일리법은 상업은행과 투자은행 간 격차를 줄이기 위해 상업은행이 증권의 인수와 거래를 주된 업무로 하는 자회사를 둘 수 있도록 허용하였습니다. 또한,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의 임직원 .. 경제/경제 및 금융 용어 2023. 6. 21. 국외순수취요소소득 국외순수취요소소득 국외 순 수취 요소 소득(國外純收取要素所得)은 한 나라의 국민이 국외에서 노동, 자본 등의 생산요소를 제공한 대가로 받은 국외수취요소소득에서 국내의 외국인이 생산활동에 참여함으로써 발생한 국외지급요소소득을 차감한 것입니다. 즉, 국외 순 수취 요소 소득 = 국외수취요소소득 - 국외지급요소소득 입니다. 참고로 국민총생산과는 아래 식과 같은 관계가 성립합니다. 국민총생산(GNP)= 국내총생산(GDP) + 국외 순 수취 요소 소득 국외 순 수취 요소 소득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국외 순 수취 요소 소득 = 국외순수취 기업 및 재산소득 + 피용자보수 - 국외지급요소소득 국외순수취 기업 및 재산소득은 한 나라의 국민이 국외에서 기업 활동이나 부동산 투자를 통해 얻은 소득을 말합니다... 경제/경제 및 금융 용어 2023. 6. 17. 국외순수취경상이전 국외순수취경상이전 국외 순수취 경상 이전[國外 純受取 經常 移轉]은 국내 거주자와 비거주자 간에 반대급부(어떤 일에 대하여 얻게 되는 이익) 없이 일어나는 이전거래로, 국외 수취 경상 이전에서 국외 지급 경상 이전을 차감하여 구합니다. 국외순수취경상이전은 거래주체에 따라 민간이전과 공공이전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국외순수취경상이전 = 국외수취경상이전 - 국외지급경상이전 국외순수취경상이전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인이 한국에 있는 부모에게 생활비를 송금하기 - 한국 정부가 아프리카의 한 국가에 원조를 보내기 - 미국 정부가 한국의 한 기업에 기술을 제공합니다. 1. 국외수취 경상이전 1) 민간이전 수입 - 민간이전은 거주자와 비거주자 간에 이루어지는 개인 간의 이전거래를 말합니다.. 경제/경제 및 금융 용어 2023. 6. 11. 국부펀드란? 국부펀드란? 국부펀드(Sovereign wealth fund)는 국가보유 자산으로 운용되는 투자기금으로, 주로 투자 수익을 목적으로 국내외 다양한 자산에 투자합니다. 국부펀드는 사모펀드, 연기금 등과 비슷하지만, 소유권이 국가에 있기 때문에 차이가 있습니다. 국부펀드는 상품펀드와 비상품펀드로 나뉘며, 상품펀드는 정부의 외화수입으로 조달되고 비상품펀드는 국제수지 흑자나 공적연금 등으로 조달됩니다. 국부펀드는 2005년경에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1953년에는 쿠웨이트투자청 등이 있었습니다. 대부분은 1970년대 이후에 만들어졌으며, 아시아와 중동을 비롯한 신흥 시장국가들이 중심이 되어 조성되고 있습니다. 국부펀드는 크게 세 가지 목적으로 설립된다. 첫째, 국가의 경제안보를 강화하기 위함이다. 국부펀드는.. 경제/경제 및 금융 용어 2023. 6. 3.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 1.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 소개 국민소득은 한 국가의 경제 건전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국민소득은 특정 기간 동안 한 국가 내에서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총가치를 반영합니다. 그러나 국민 소득을 측정하는 것은 간단한 일이 아닙니다. 국민소득은 세 가지 관점에서 계산할 수 있으며, 각 관점은 경제에 대한 서로 다른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2.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 세가지 관점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은 한 국가의 국민소득은 생산, 지출, 분배의 세 가지 측면에서 측정하더라도 항상 동일하다는 법칙입니다. 1) 생산 측면에서 국민소득은 한 국가의 기업이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측정한 것입니다. 2) 지출 측면에서 국민소득은 한 국가의 가계, 기업, 정부가 .. 경제/경제 및 금융 용어 2023. 5. 27.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