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정책 및 이슈

도시바 상장폐지

머니톡스1 2023. 12. 23.
반응형

도시바 상장폐지

 

도시바는 일본 기술력의 상징이자 자존심이었던 기업입니다. 하지만 지난 9월, 사모펀드인 일본산업파트너스(JIP) 컨소시엄에 2조 엔(약 18조 원)에 인수되어 결국 상장을 폐지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74년 만의 일본 증시에서의 퇴장이었습니다.

 

도시바 메인 이미지

 

도시바의 몰락

1875년에 창립된 이후 일본의 최초 컬러 TV(1960), 세계 최초 플래시 메모리 개발(1980), 그리고 세계 최초 노트북 출시(1985)를 비롯한 혁신적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제품으로 일본의 산업과 경제를 이끌어왔습니다. 하지만 작년 9월, 재정적인 어려움에 처한 도시바를 사모 투자 펀드인 일본 인더스트리얼 파트너스(JIP) 컨소시엄이 2조 엔(약 18조 원)에 인수했습니다. 도시바는 이제 인력과 사업 구조 조정, 자산 매각의 고통스러운 과정을 거쳐 부활의 길을 찾아야 하는 상황입니다.

 

도시바의 몰락은 2015년 회계부정 문제와 2017년 미국 원자력발전소 자회사의 거액 손실 등으로 시작했습니다. 수익성 있는 사업은 매각하고, 사업성 없는 사업은 유지하는 등 시장 변화를 읽어내지 못했습니다. 또한, 미래 신산업을 이끌 새로운 기술도 낳지 못했습니다.

 

한국 경제에 시사하는 점

도시바의 몰락은 한국 대기업과 한국 경제에 큰 시사점을 던져줍니다. 현재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세계 메모리반도체 시장을 호령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을 비롯한 또 다른 후발 주자들의 추격을 받고 있습니다.

 

인공지능(AI)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면서 AI 반도체의 고대역 메모리(HBM) 시장도 주도하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 그룹은 IONIQ 5와 EV9를 중심으로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LG 에너지솔루션도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에서 2위를 차지하며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한국 대기업이 과거 일본 대기업이 받았던 찬사를 대신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것도 영원하지 않습니다. 미국과 중국 간의 기술 지배권 경쟁으로 급변하는 글로벌 공급망 시장에서 한국 기업도 '도시바의 길'을 따르지 않을 것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쿠팡 파페치 인수와 목적

쿠팡 파페치 인수와 목적 오늘은 국내 최대 이커머스 기업 쿠팡이 최근 명품 패션 플랫폼 파페치를 인수한 소식을 전해드리려 합니다. 쿠팡, 파페치 인수로 글로벌 명품 시장 진출 쿠팡은 최근 5

niceman111.tistory.com

 

세계 기술패권 경쟁으로 세계 공급망 시장이 격변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기업들도 ‘도시바의 길’을 걷지 않을 것인지를 고민해야 합니다. 기술 혁신의 변화는 갈수록 빨라지고, 시간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댓글